인물

손상모 박사 프로필 나이 학력 경력 제임스웹

마이월드 2023. 8. 1. 11:58
반응형

손상모 박사는 인류의 새로운 눈이라고 평가를 받는 미국 제임스웹 소속의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 수석연구원입니다. 제임스웹에서 근무하는 유일한 한국인 과학자이기도 한 손상모 박사의 프로필과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입사 이야기 및 역할 소개, 경력 등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손상모 프로필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 나이 : 만 47세
  • 학력 :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학사졸업, 미국 버지니아주립대 석사 및 박사졸업
  • 가족 : 아내, 딸
  • 경력 : 미국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현재)

 

손상모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입사 이야기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손상모 박사는 학창 시절 미국의 공상과학 영화 시리즈인 스타워즈와 하늘을 좋아하는 학생이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관심으로 1994년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 입학하였다고 하는데요. 천문우주 학문을 공부하며 본격적으로 천문학자를 꿈꾸게 된 그는 당시 NASA가 1990년 우주로 보낸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연구하는 연구원들은 전부 외계인인 줄 알았다고 합니다. 그만큼 천문학자라는 꿈은 머나먼 얘기로 느껴졌는데, 상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하여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었다고 합니다.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대학교 졸업 이후 미국 버지니아주립대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친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에서 방문연구원 자격으로 재직을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당시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 소속의 롤랜드 반더마렐 박사가 허블을 이용하여 안드로메다의 고유운동을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해당 연구원을 뽑는 자리에 지원했다고 합니다. 천문학자들조차 안드로메다의 고유운동은 복잡하고도 정확한 관측과 분석을 요구하는 어려운 일임에도 도전 의식이 생겨 STScI로 진로를 정했다고 하는데요. 이에 2009년 STScI에 입사하여 10개 이상의 허블우주망원경 프로젝트의 책임연구자를 맡아 광학 초점면 전문가로서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역할 소개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출처 : HelloDD)

제임스웹은 우주를 바라보는 인류의 새로운 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는 미 항공우주국(NASA)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영을 위해 설립한 기관이라고 하는데요. 이 제임스웹에서 손상모 박사는 망원경에 쓰이는 거울의 광학초점면을 담당하는 팀인 우주망원경팀에 소속되어 거울을 최상의 상태로 만드는 직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참고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NASA가 100억 달러를 투입해 개발한 세계 최대 규모의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라고 합니다. 2021년 12월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으며, 발사 이후의 모든 운영은 우주망원경 연구소가 책임을 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해당 망원경은 사용을 원하는 과학자들이 제안서를 매해 제출하면 전문가들을 초청해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택된 과학자들만이 시간을 배분하여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후 성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관측 스케줄링 등의 도움을 주고, 관측이 완료되면 우주망원경에서 오는 데이터를 연구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제임스웹 망원경 소개

제임스웹-망원경
제임스웹 망원경 (출처 : NASA)

제임스웹 망원경은 보통 하루 12시간 정도 쉼 없이 운영되고 있으며, 스케줄을 시스템상에 입력하면 자동으로 망원경이 천체를 촬영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기존 허블우주망원경을 대체한 망원경으로 18개의 거울에 금을 얇게 덧입혀 발사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무려 금반지 13개 정도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양의 금으로 만들어져 100억 달러의 가격으로 추산되며 적외선을 99%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제임스웹-망원경
제임스웹 망원경 소개 (출처 : 한겨레)

특히, 제임스웹 망원경은 정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요. 그렇게 만든 이유는 빈틈없이 면적을 채우기에 가장 좋은 모양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망원경은 남아있는 연료가 닳을 때까지 작동된다고 하며, 최초에 NASA는 5~10년 정도로 제임스웹 망원경 수명을 예상했으나, 생각보다 연료 소모량이 적어서 2023년 기준으로 앞으로 25년 정도 운영할 수 있는 연료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손상모 박사 경력 사항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 2004~2006년 : 한국천문연구원 위촉선임연구원
  • 2006~2009년 :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 2009년~현재 : 미국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 수석연구원

 

 

손상모 유퀴즈 출연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출처 :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8월 2일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유명 과학자 손상모 박사가 출연한다고 합니다. 해당 방송에서 손상모 박사는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에서의 이야기와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실제 행성 모습부터 제임스웹 망원경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한다고 하는데요.

 

손상모-박사
손상모 박사 (출처 :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평소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하는 우주와 값비싼 천체 망원경에 대한 손상모 박사의 이야기에 많은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별들이 태어난 성운 이야기도 한다고 하여 과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여러 커뮤니티에서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하네요.

 

 

 

손상모 저서

과학잡지-에픽-19호
과학잡지 에픽 19호

손상모 박사는 우주를 주제로 한 과학잡지 '에피 19호'에 제입스웹 우주망원경 이야기를 실었다고 합니다. 가까우면서도 멀게 느껴지는 우주에 대해 이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하고 상상했던 것들을 풀어나간다고 하며, 이와 관련하여 손상모 박사는 유튜브 <안될과학>의 랩미팅에 출연하여 책에 실려있는 우주와 망원경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줬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손상모 박사의 프로필과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입사 이야기와 역할, 제임스웹 망원경 소개, 경력 사항, 저서 등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많은 과학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는 손상모 박사의 앞으로의 활동을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